Analysis & Visualization/R

R 프로그래밍 조건문과 반복문

statsbymin 2022. 4. 28. 00:39

데이터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if문을 활용해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. 

형식의 경우 "if(조건) 표현식" 으로 구성되어 있다.

 

반복문의 경우 데이터를 검토 시 반복적으로 값을 변경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. 반복문의 종류에는 repeat, while, for 등이 있는데 그 중 for 문의 형식을 알아보면

 

for(변수 in 데이터) {

     반복 수행할 문장

}

형식으로 어렵지 않게 작성할 수 있다.

 

for문 안에 if를 사용해서 조건을 넣고 참인 값을 추출해보는 예시를 들어보자.

조건문과 반복문을 통해 범위를 설정하고 그 안에서 조건에 맞는 값을 추출해보는 예시
1부터 10까지의 수에서 소수 출력하기
# 소수 출력
for(i in 1:10) {
	check = 0
    for(j in 1:i) {
    	if(i %% j == 0) {
        	check = check + 1
        }
    }
    if(check == 2) {
    	print(i)
    }
}

2중 for문을 실행하여 소수를 출력하는 코드이다.

이때, %%는 나머지를 출력하는 코드이고 초기 check 값은 0으로 설정한다.

i를 1부터 i 까지 나누었을 때, 나머지가 0이면 check에 1을 더해준다.

소수의 경우 약수가 1과 자기자신 2개 뿐이기 때문에 check 값이 총 2번 더해져 check = 2가 되면 i를 출력한다.

 

 

위 코드를 실행시켜보면 

결과

1이상 10이하의 수 중 소수인 2, 3, 5, 7이 결과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.